728x90
반응형
SMALL

비빔밥

 

                 시인 이대흠

                 시집 <귀가 서럽다>중에서

 

비빔밥엔 잡다한 것이 들어가야 한다. 싱건지나 묵은 김치도 좋고 숙주노물이나 콩노물도 좋다. 나물이나 노무새도 좋고 실가리나 씨래기 시락국 건덕지도 좋다. 먹다 남은 찌개 찌그래기나 달걀을 넣어도 좋지만 빼먹지 않아야 할 것은 고추장이다. 더러 막걸리를 넣거나 된장국을 흥창하게 넣는 사람도 있는데 그것은 취향일 뿐 그렇다고 국밥이 되는 것은 아니다.

 

비빔밥엔 가지가지 반찬에 참기름과 고추장이 들어가야 하지만 정작 비빈 밥이 비빔밥이 되기 위해서는 풋것이 필요하다. 손으로 버성버성 자른 배춧잎이나 무잎 혹은 상추잎이 들어가야 비빔밥답게 된다. 다 된 반찬이 아니라 밥과 어우러지며 익어갈 것들이 있어야 한다. 묵은 것 새것 눅은 것 언 것 삭은 것 그렇게 오랜 세월이 함께해야 한다.

 

하지만 재료만 늘어놓는다고 비빔밥이 되는 것은 아니다.

비빔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요령이 필요하다. 비빈다는 말은 으깬다는 것이 아니다. 비빌 때에는 누르거나 짓이겨서는 안된다 밥알의 형태가 으스러지지 않도록 살살 들어주듯이 달래야 한다 어느 하나 다치지 않게 슬슬 틀어 올려 떠받들어야 한다.

 

손과 손은 맞재고 비비듯 입술과 입술을 대고 속삭이듯 그렇게

서로가 서로를 우려 이미 분리할 수 없게 그렇게

그렇게 나는 너를 배고

너는 내게 밴 상태라야 비빔밥이라고 할 수 있다.

 

우는 사람아 비빔밥을 먹을래

내가 너에게 듣고 싶다,

 

-----------------------------------------------

 

비빔밥에서 중요한 것은 짓이겨서는 안되고 달래야 한다는 말처럼

여러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데 있어 각자의 개성을 무시하는 것보다 존중해야 한다.

조직이라는 틀이 자신을 속박하는 굴레가 아니라 비빔밥처럼 어울리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저작권 문제시 바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에 공감하신다면 엄지손가락을 눌러주세요

저의 새로운 글이 궁금하시면 구독을 눌러주세요.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