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을 만드는 마음으로
시인 이어령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 중에서...
대장장이가 범종을 만들듯이
그렇게 글을 써라
온갖 잡스러운 쇠붙이들 모아서 불로 녹인다.
무디고 녹슨 쇳조각들이 형체를 잃고 용해되지 않으면
대장장이는 망치질을 못한다.
걸러서는 두드리고 두드리고는 다시 녹인다.
그러다가 쇳조각은 종으로 바뀌어
맑은 목청으로 운다.
망치로 두드릴 때의 쇳소리가 아니다.
사냥꾼이 한 마리의 꿩을 잡듯이 그렇게 글을 써라.
표적을 노리는 사냥꾼의 총은
시각과 청각과 촉각과 그리고 후각의
모든 감각의 연장이고 연장이다.
묶여 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움직이고
숨는 것을 향해 쏘아야 한다.
또 돌진해 오는 것들을 쏘아야 한다.
표적에서 빗나가도 사냥꾼은 총대를 내리지 않고
또 다른 숲을 향해 달려간다.
목수들이 집을 짓는 마음으로 글을 써라.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 집이 제 모습으로 완성되면
목수들은 연장을 챙긴다.
살 수도 없는 집을 정성스럽게
다듬고 못질하고 대들보를 올린다.
그래도 목수는 자기가 만든 집이
자기 집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만들면 떠나야 한다는 것을 안다.
글을 쓰되 종을 만드는 대장장이처럼,
쇠로 쇠의 성질을 바뀌게 하고
글을 쓰되 꿩을 잡는 사냥꾼처럼
민첩하고 사납거라.
그러나 글을 쓰되, 목수처럼 다 쓰거든 떠나라.
남들 그곳에서 먹고 자고 일하도록
그 대문 열쇠를 넘겨주리라.
----------------
대장장이가 잡스러운 쇠붙이를 모아 녹여야만 망치질을 가능하다.
그렇게 만들어진 종은 쇠붙이가 아닌 맑은 목청을 자랑하는 종으로 다시 태어난다.
글도 마찬가지다. 살아 있는 것을 향해 쏘아 올려 표적을 찾아나서면서 써야 하고
재료가 모아 지면 집을 짓는 목수의 마음으로 써야 한다.
그리고 글을 쓰면 이는 재료가 아닌 하나의 문장이 되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문 열쇠를 넘겨주어야 다시 글로서 의미를 가질수 있다.
이는 자신이 하는 일에 있어 기초부터 결론까지의 충실함과 성실함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의 결과에 있어 과정에 얶매이지 않아야 함을 가르친다.
결론에 있어 대문의 열쇠를 넘겨줄수 있는 대범함은
자신의 일에 대해 높은 책임감과 만족감없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를 보고 다른 생각을 하겠지만
난 언론 종사자들이 이 시를 보았으면 좋겠다.
그들의 글과 종에 책임감이 있는지 열쇠를 넘겨주어도 떳떳할수 있는지
그들의 문장에 책임감을 더하고 싶다.
저작권 문제시 바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에 공감하신다면 엄지손가락을 눌러주세요
저의 새로운 글이 궁금하시면 구독을 눌러주세요.
'개미 시로 말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더딘 느티나무- 시인 신경림 - 사람들이 죽고 죽어 느티나무를 키워 나간다 (0) | 2013.12.10 |
---|---|
시-책꽂이를 치우며- 시인 도종환 - 별이 아닌 하늘을 말하다. (0) | 2013.12.10 |
시-새우의 눈-시인 권혁수- 새우로 삶과 바다를 말하는 시의 거대한 힘 (0) | 2013.12.10 |
시-수라- 시인 백석- 다른 나라에서 온 그들의 가족을 걱정하다. (0) | 2013.12.10 |
시-녹차마시는- 시인 한미영- 쉴틈 없이 싸매기만 하는 우리들. (0) | 201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