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
시인 이정록
책 <나에게 문병가다> 중에서..
양수를 여섯 번이나 담았던
당신의 아랫배는
생명의 곳간, 옆으로 누우면
내가 제일 고생 많았다며
방바닥에 너부러진다
긴장을 놓아버린 아름다운 아랫배
누가 숨소리 싱싱한 저 방앗간을
똥배라 비 웃을수 있는가
허벅지와 아랫배의 터진 살은
마른 들녘을 적셔 나가는 은빛 강
깊고 아득한 중심으로 도도히 흘러드는
눈부신 강줄기에 딸려들고파
나 문득 취수장의 물처럼 소용돌이 친다
뒤룩뒤룩한 내 뱃살을
인품 인 양 어루만지는 생명의 무진장이여
방바닥도 당신의 아랫 배에 볼 비비며
쩔쩔 끓는다.
-----------------------
배는 아기를 담았던 세숫대야 이기도 하고
음식과 물을 처리하는 처리장이기도 하다.
세숫대야로 이런 상상을 할수 있다니 시인의 시심에 놀란다.
지금은 누우면 방바닥에 노상을 깔듯이 널부러지는 배지만
그 배가 그렇게 늙고 쩔쩔 끓는 바닥의 위로를 받을 때까지의
세월을 생각하면 그 배의 고난이 떠오른다.
세월이 새긴 무늬는 우리 몸 곳곳에 남지만 우리의 중심인 배의
나이테는 선명하다. 그 만큼 우리 몸 중에서 가장 치열했던 곳이기도 하다.
저작권 문제시 바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에 공감하신다면 엄지손가락을 눌러주세요
저의 새로운 글이 궁금하시면 구독을 눌러주세요.
반응형
LIST
'개미 시로 말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병에게- 시인 조지훈 - 병을 쉼표로 삼자. (0) | 2013.12.10 |
---|---|
시-흔들린다- 시인 함만복 - 작은 흔들림이 큰 풍파를 막는다. (0) | 2013.12.10 |
시-아내와 싸운 날- 시인 박형진 - 괜스레 퉁명스러워 졌다면 음식을 해보자. (0) | 2013.12.10 |
시-삽-시인 정진규 - 노동의 가치를 말하다 (0) | 2013.12.10 |
시-빨래꽃- 시인 유안진 - 빨래꽃이 피어 만발한 동네 (1) | 201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