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나 2
시인 오규원
시집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중에서
허공에 크고 붉은 해를 하나 그렸습니다.
해 바로 아래 작은 산 하나를 매달아 그렸습니다.
해와 산은 캔버스에 바짝 붙어 있습니다.
산 귀퉁이에는 집을 하나 반쯤 숨겨 그렸습니다.
나는 그 집에 들어가 창을 드르륵 엽니다.
지나가던 새 한 마리가
집에 눌려 손톱만하게 된 나를
빤히 쳐다보고 갑니다.
<바다개미 추천이유>
2013년 한해동안 계획해서 그리려던 인생의 그림은 잘 완성 되셨는지요?
몇줄 긋다가 만 사람도 있고 누구에게 내놔도 빠지지 않는 그림을 그린 사람도 있는가 하면 또 추상화처럼 어렴풋한 그림을 완성한 사람도 있을 것 같네요.
우리가 그림을 그릴때 시처럼 왜 해와 산을 같이 그 밑에 초가집을 그릴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 이유는 해를 쬐고 열심히 돌아다니고 산이 주는 그늘에서 쉬기도 하면서 집에 들어가 안락함을 누리라는 옛선인들의 지혜가 이어져 오는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그 작은 집에 들어 앉은 나를 보고 가는 새 한마리는 해가 바뀌는 건 알리는 존재는 아닐지 생각해 봤습니다.
그 새 한마리에게서 날카로움을 느꼈다면 반성을 해보고 잘했다는 토닥임을 느꼈다면 나를 내가 칭찬하고 더 나아갈 계획을 세워 보는 건 어떨까요?
찾아 온 2014년 노력하신 모든 걸 이루는 한해가 되길 빕니다.
저작권 문제시 바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에 공감하신다면 엄지손가락을 눌러주세요.
저의 새로운 글이 보고 싶으시면 구독을 눌러주세요.
'개미 시로 말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막고 품다-시인 정끝별 - 외롭지 않기 위해선 사람과 함께 가야 한다. (0) | 2014.01.04 |
---|---|
시-따뜻한 책- 시인 이기철 - 집밥같은 글쓰기를 꿈꾸며 (0) | 2014.01.03 |
시-개마고원 별지기-시인 정영주- 다시 빛날 별을 기다리면서 (0) | 2013.12.31 |
동시- 달맞이 꽃- 시인 김용택 - 당신의 달맞이 꽃은 누구입니까? (0) | 2013.12.30 |
시-다행이다.참 다행이다- 시인 정다혜- 다행이라는 고마움 (0) | 201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