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영화 베를린

 

“냉전 시대 베를린 길거리의 10명 중 6명은 스파이였다고 한다.
냉전 시대가 끝나고 지금도 여전히 그 기운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시대의 비극이 남아 있는 그 곳 베를린에서
자신을 감추고 살아가는, 그만큼 비밀스럽고 위험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승완 감독-

 


 

<줄거리>

거대한 국제적 음모가 숨겨진 운명의 도시 베를린.
그 곳에 상주하는 국정원 요원 정진수는 불법무기거래장소를 감찰하던 중 국적불명, 지문마저 감지되지 않는 일명 ‘고스트’ 비밀요원 표종성의 존재를 알게 된다. 그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해 뒤를 쫓던 정진수는 그 배후에 숨겨진 엄청난 국제적 음모를 알게 되면서 걷잡을 수 없는 위기에 빠진다.
한편 표종성을 제거하고 베를린을 장악하기 위해 파견된 동명수는 그의 아내 연정희를 반역자로 몰아가며 이를 빌미로 숨통을 조이고, 표종성의 모든 것에 위협을 가한다. 표종성은 동명수의 협박 속에서 연정희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서 그녀를 미행하게 되지만, 예상치 못한 아내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혼란에 휩싸이게 되는데...

국제적 음모와 각자의 목적에 휘말려 서로를 쫓는 이들의 숨막히는 추격전!
2013년, 초대형 액션 프로젝트가 펼쳐진다!

 

 

 

 

<바다개미 리뷰>

 

시대의 냉전으로 갈라졌던 이념이 통일을 맞이 했을때 갈 곳을 잃는 사람들의 위험한 이야기

 

류승환 감독은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자 영화를 기획했다. 그렇다면 이 영화에서 하정우가 연기한 표종성의 고민이 줄거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영화는 갈라졌던 이념 그리고 통일로 갈곳을 잃은 사람들의 고민을 제대로 담지 못했다. 그 고민보다는 북한의 이권다툼으로 돌아선 한 인간의 고민이라 함이 맞지 않을까.

 

반대쪽 중심을 이뤄서 가야 했던 국정원 요원 정진수(한석규) 조직의 권력싸움에 밀려 할 수 있는 없는 뒤로 밀려난 공무원 같아 보였고 북한 급파요원 동명수(류승범)은 자신의 이권을 위해 살인을 서슴치 않는 잔인한 살인마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사랑보다는 국가가 맺어 준것처럼 보이는 표종성의 아내 연정희(전지현)은 북한에 남겨진 아이를 그리워 하며 남편과 단란한 가족을 꿈꾸는 연약한 여자가 되어 버렸다.  영화는 이권을 차지하려는 동명수에 맞서 이념을 떠나 가족을 지키려는 표종성의 액션영화라고 볼수 있다. 표종성만의 이야기 선상에 있을 뿐 동명수는 선을 넘어 버렸고 나머지 배역들은 선을 미치지 못했다.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북한을 대표하는 표종성(하정우),이념에 따라 여기까지 왔지만 낡은 유산 같은 북한 대사(이경영), 한국을 대표하는 국정원 요원 (정진수)라는 세인물이 이념을 떠나 이권으로 다시 관계를 재편하는 북한 급파요원(동명수)에 맞서 어떤 관계로 재편되는지 관찰하는 영화라고도 볼 수 있다. 이권이라는 무시무시한 잣대는 서로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지만 서로의 목숨을 아껴던 관계에 빈틈을 만들기 시작했다. 

 

낡은 유산처럼 보였던 북한 대사는 나라를 배반했다는 이유를 들어 죽어야 했고 국정원 요원을 오랫동안 활동하면서 알던 CIA 요원도 친구였던 한국일을 도와주다가 죽어야 했다. 그렇게 영화 초반에 잘못이 없어보이는 사람들은 이권이 개입하면서 낡은 유산처럼 정리되어 버렸다. 그나마 이용가치가 있는 표종성을  자신의 편으로 돌리기 위해 부인마저 의심하게 만드는 동명수의 행동은

인간을 넘어 이권으로 점철된 냉혈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념을 떠나  정진수의 도움을 받아 가족을 지키려는 표종성의 싸움은 이권에 흔들리면서도 결국은 사람이 답이다라는 결론으로 끝이 난다. 이념을 자존심이자 자신으로 여기며  살았지만 가족마저 위협받는 상황에서 마지막 선택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이다.

 

 

그러나 이념 갈등이 끝났을 때 방황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다 국가적인 모습에서 풀어냈다면 좀 더 훌륭한 첩보영화가 될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이권이 개입했을 때 마지노선 없이 무너지고 방황하는 모습은 너무나 나약하게 보였다. 급파요원에 맞선 북한 대사의 모습이나 아니면 한국에서의 변화를 좀더 입체감있게 조망했을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뛰어난 캐스팅. 그러나 각기 다른 역량으로  엇나간 영화 <베를린>

 

 

제 글에 공감하신다면 엄지손가락을 눌러주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새로운 글이 궁금하시면 구독을 눌러주세요.

 

 

 

 

 

 

반응형
LIST

+ Recent posts